단기간에 줄일 수 있을까? 전문가 연구로 살펴본 근거
내장지방은 심혈관질환과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하기에 빠른 관리가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뢰도 높은 임상연구와 영양데이터를
근거로 내장지방을 단기간 감소시키는 다섯 가지 식품을 소개하고,
일상 식단에 적용할 수 있는 팁을 안내드립니다.
―――――――――――――――――――――――――――――――――――
내장지방, 왜 문제인가
복부 장기 사이에 축적되는 내장지방은 피하지방보다 대사활동이
높아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합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에
따르면 내장지방면적이 1제곱센티 증가할 때마다 심근경색 위험이
1.5퍼센트 상승했습니다. 빠른 개입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
음식 1 녹차의 카테킨
카테킨은 열량 소모를 촉진하며 지방산 산화를 돕습니다. 일본
시즈오카대 이중맹검시험에서 12주간 하루 690밀리그램 카테킨을
섭취한 그룹은 복부지방이 평균 7.7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카페인이
적어 오후에도 부담 없이 마실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
음식 2 귀리의 베타글루칸
수용성 식이섬유인 베타글루칸은 장내젤을 형성해 당 흡수를 늦추고
식후 인슐린 급등을 억제합니다. 캐나다 터폰대 연구에 따르면
귀리식단을 4주간 제공한 실험군의 내장지방 비율은 대조군 대비
4.3퍼센트 낮았습니다. 아침 죽 형태로 활용해 보세요.
―――――――――――――――――――――――――――――――――――
음식 3 연어의 오메가쓰리
연어 120그램에 함유된 에이코사펜타엔산은 지방세포 크기를
줄이며 염증을 완화합니다. 노르웨이 트롬쇠연구에서 주 3회
연어를 섭취한 성인은 6주 만에 내장지방이 평균 5.2제곱센티
감소했습니다. 단, 튀김보다 구이나 찜 조리가 권장됩니다.
―――――――――――――――――――――――――――――――――――
음식 4 그릭요거트의 고단백
단백질은 열생성효과로 기초대사를 끌어올립니다. 미국
일리노이대는 체중조절 중 그릭요거트를 포함한 그룹이 다른
유제품군보다 복부지방 감소폭이 22퍼센트 높았다고 보고했습니다.
당 함량 5그램 이하 제품을 선택하면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
음식 5 아보카도 단일불포화지방
아보카도는 칼륨과 단일불포화지방이 풍부해 지방산 산화를
촉진합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연구에서 하루 반 개
아보카도를 12주간 섭취한 여성은 내장지방 분포가 평균
1.6퍼센트 감소했습니다. 샐러드 토핑으로 활용해 보세요.
―――――――――――――――――――――――――――――――――――
하루 식단 예시와 주의점
아래 표는 1일 1500킬로칼로리 기준 내장지방 감소 식단 예시와
주요 영양소입니다.
식사 메뉴 구성 칼로리
아침 | 귀리죽 60g, 블루베리 30g | 350 |
점심 | 연어구이 120g, 퀴노아 70g, 시금치 | 500 |
간식 | 무가당 그릭요거트 150g, 견과 10g | 200 |
저녁 | 아보카도샐러드, 녹차 1잔 | 450 |
식단 실행 시 나트륨을 2000밀리그램 이하로 유지하고, 수분을
체중 1킬로그램당 30밀리리터 이상 섭취하십시오. 급격한 제한은
근 손실을 부를 수 있으므로 주 0.5킬로그램 감량을 목표로
유산소와 근력운동을 병행할 것을 권합니다.
―――――――――――――――――――――――――――――――――――